어린이 ADHD 4탄 - ADHD의 치료 (약물치료)
안녕하세요 :) 또더샘입니다.
오늘은 ADHD의 치료에 관한 이야기를 해볼까합니다.
그 전에 제가 ADHD와 관련한 앞선 포스팅 3개에서
ADHD의 정의, 주요 증상(임상 특성)과 진단기준(DSM-5), 원인에 대해 소개해드렸는데요, 아직 읽어보지 못하신 분들은 앞선 포스팅도 참고해보세요. 맨 아래에 링크 남겨드릴게요!
오늘도 본론에 들어가기에 앞서, 제가 공부할 때 참고한 책에 대해 소개하며 출처를 밝힙니다.
홍강의(2014). 「소아정신의학」. 학지사. 중에서
11장 안동현, 김붕년(2014).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ADHD 치료 방법은?"
ADHD치료는 대체로
'약물치료 + 인지행동치료 + 교육적 개입'
의 3가지 방법을 조합하여 진행됩니다.
그 중에서도 오늘은 약물치료에 해당하는 내용을 살펴보겠습니다.
<약물치료의 효과>
약물치료는 ADHD 아동의 약 70~80%의 정도에서 매우 효과가 있습니다.
여러가지 약제가 처방되지만 가장 효과적인 것은 중추신경자극제(각성제) 투여 방법입니다.
국내에서는 각성제 가운데 메틸페니데이트(methylphenidate; MPH) 제제만 처방이 된다고 합니다.
각성제 외에도 여러가지 약제를 동반하여 처방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약물치료의 부작용>
각성제 투여의 일반적인 부작용으로는 수면각성장애, 식욕부진, 오심, 복통, 두통, 목마름, 구토, 감정변화, 자극민감성, 슬퍼보이는 모습, 울음, 빈맥, 혈압변화 등이 있지만 심혈관계 작용을 제외한 나머지는 대개 수 주일 안에 감소합니다.
부작용의 경우 아동은 청소년이나 성인에 비해 덜 민감한 편이기도 합니다.
<약물투여 기간>
약물투여는 대개 6개월~1년 정도 지속하고, 상태가 호전되면 조심스럽게 약을 4~6주간 중단한 뒤에 약물치료가 필요한지 여부를 재평가합니다.
전체 치료기간에 대해서는 아직 확실한 판정기준이 없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청소년기나 성인기까지 지속할 수도 있습니다.
약물치료가 효과적임에도 불구하고 실제 치료에서는 비약물치료도 병행하게 되는데요,
비약물치료를 진행하는 이유와 종류, 방법에 대해서는 다음 포스팅을 참고해주세요!
https://teacher-note.tistory.com/15
어린이 ADHD 5탄 - ADHD의 치료(비약물치료)와 예후
안녕하세요. 또더샘입니다 :) 지난 포스팅부터 ADHD의 치료에 대해 알아보고 있는데요, 오늘은 ADHD의 비약물치료와 예후에 대해 이야기해보고자 합니다. 앞선 포스팅에서는 ADHD의 약물치료에 대
teacher-note.tistory.com
어린이 ADHD와 관련된 다른 포스팅들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해보세요!
이상 또더샘이었습니다 :)

https://teacher-note.tistory.com/9
어린이 ADHD 1탄 - ADHD의 정의와 주요 증상(임상 특성)
안녕하세요. 또더샘입니다 :) 지난 포스팅에서는 산만한 아이 지도방법에 대한 저의 공부노트를 공유해드렸습니다. 혹시 보지 못하신 분들은 아래 링크를 통해 먼저 보고 오세요. https://teacher-not
teacher-note.tistory.com
https://teacher-note.tistory.com/10
어린이 ADHD 2탄 - ADHD의 진단 기준 (DSM-5 진단 기준)
안녕하세요. 또더샘입니다 :) 지난번 포스팅에서는 ADHD의 정의와 주요 증상(임상 특성)에 대해 알아보았어요. 오늘은 ADHD의 명확한 진단 기준에 대해 알아보려고 하는데요, 그 전에 지난번 ADHD 포
teacher-note.tistory.com
https://teacher-note.tistory.com/13
어린이 ADHD 3탄 - ADHD의 원인
안녕하세요. 또더샘입니다 :) 오늘은 ADHD 포스팅을 이어가볼건데요, 이전 포스팅에서 ADHD의 정의와 주요 증상(임상특성), DSM-5에 따른 진단기준을 알아보았습니다. 오늘 포스팅을 읽으시기 전에
teacher-note.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