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얼집샘의 공부노트

화내는 아이, 우리 아이의 화를 녹이는 지도 방법

by 또더샘 2022. 9. 4.

안녕하세요. 또더샘입니다 :)
오늘은 교실에 종종 보이는 유난히 '화가 많은 아이들'...........ㅠㅠ

을 지도하는 방법을 공부해보았습니다. 그 내용을 공유해드리려고 해요 :)

'화'란 특정 상황이 못마땅하거나 언짢아서 생기는 노여운 감정을 말하는데요,
일상에서 자연스럽게 경험할 수 있는 감정이지만, 효과적으로 잘 다스려야하는 감정이기도 합니다.
'화'에 대한 조절이 되지 않아 불편한 상황에서 무작정 화부터 내는 아이들이 있다면 아래와 같이 지도해보세요.


1. 일단 아이를 진정시키고 이야기를 들어보세요.

화를 내는 아이를 무조건 다그치고 감정적으로 대응한다면 아이는 마음을 더 꼭꼭 닫아버립니다.
'화'라는 감정에 대해 아이와 이야기를 나누어보세요.
"지금 마음이 어떠니?",
"왜 화나는 마음이 들었니?",
"어떤 일이 있었니?" 하고
아이가 화를 내고 있는 자신의 상황과 감정을 인식하고 표현할 수 있도록 기회를 주세요.

2. 화가 나는 아이의 감정에 공감해주세요.

아이의 이야기를 충분히 들었다면, 화가 나는 마음을 그대로 인정해주세요.
"그게 뭐가 화날 일이니?", "왜 그런걸로 화를 내고 그래?"와 같은 표현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해서 화가 났구나.", "그래, 속상할 수 있겠다."와 같이 아이가 느낀 감정에 대한 공감의 표현을 해주세요.
부모님으로부터 공감받고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아이는 화나는 감정이 어느정도 누그러들 수 있습니다.

728x90

 

3. 다양한 감정을 알려주세요.

아이들은 다양하게 분화되고 있는 자신의 감정을 인식하고 표현하는 것이 서툴러서 모든 감정을 '화'로 표현하는 중일 수도 있습니다.
'속상하다', '억울하다', '무섭다', '슬프다', '언짢다' 등 다양한 감정을 나타내는 단어를 평소에 사용해주세요.
아이가 '화'로 표현하는 상황을 자세히 들여다보았다면, "아~ 언니가 장난감을 가져가거 000이가 속상했구나."
"000이가 그렇게 하려고 한게 아니었는데 억울했구나."와 같이 올바른 감정을 읽어주시면 좋습니다.

4. 같이 화내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보통 아이가 화를 내면 그 모습에 화가 나 부모님 역시 화를 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처음에는 참으려고 해보지만 어느 순간 자제력을 잃고 아이에게 소리를 치고 있는 자신을 발견하게 되지요.
하지만 그럴 경우 아이의 감정에 휘말려 상황을 더 악화시키는 결과만을 초래하게 됩니다.
상황을 객관적으로 판단하고 아이의 화가 정당한 것인지, 화를 내는 방법이 괜찮은지 잠시만 생각해보세요.

*출처: 박정한 교수의 창의적 꿈나무 키우기 프로젝트 / 편집: 또더샘


오늘은 화가 많은 아이들을 지도 하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화내는 아이 지도 방법을 공부하며 비슷하게 떼쟁이 아이 지도하는 방법 자료도 찾을 수 있었는데요.
이 내용도 조만간 공유해드릴게요. 육아정보 함께 나누러 또 와주실거죠?

이상 또더샘이었습니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