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얼집샘의 공부노트

자폐 스펙트럼 장애 (1) - 정의와 주요 증상(임상 특성)

by 또더샘 2022. 10. 2.

안녕하세요. 또더샘입니다 :)

오늘은 '자폐스펙트럼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ASD)'에 대한 포스팅을 해보려고 해요. 

 

자폐스펙트럼장애는 최근 드라마 우영우를 통해 우리에게 많이 익숙해졌는데요, 

드라마에서 실제 자폐의 모습을 반영하기도 하지만, 꼭 자폐가 있는 아이들이 우영우와 같은 모습은 아니기 때문에 드라마만 보고 자폐의 모든 것을 판단하지 않으셨으면 했어요.

오늘은 그래서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주요 증상(임상 특성)을 정리해보았습니다.

제가 오늘 스터디에 참고한 자료는 아래 책입니다!

 

저는 아래 책의 9장 유희정, 곽영숙(2014)의 <자폐스펙트럼장애>를 참고했습니다.

홍강의(2014). 소아정신의학. 학지사

 


먼저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정확한 정의를 알고 가실까요?

 

자폐 스펙트럼 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ASD)는

'언어적·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장애, 사회적 상호작용의 질적인 장애, 상동적 행동 및 관심 범위의 제한을 주 증상으로 하는 발달성 장애'

를 의미합니다.

 

'스펙트럼'이라는 용어가 붙는 이유는 자폐를 가진 사람들이 나타내는 증상이 단순히 '있다/없다'로 판단해서는 이 장애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어렵기 때문입니다.

증상의 유형과 그 질적특성에 대해 다각도에서 입체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중요한 장애이기 때문에 '스펙트럼'의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그렇다면 아래에서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주요 증상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총 1~5까지 5개의 항목으로 정리해보았어요. 하나씩 알아볼까요?


1. 사회적 의사소통의 결핍

1) 사회·정서적 상호 교환성의 결핍

  • 자발적으로 타인과 상호작용을 시작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접근하는 시도가 적고, 다소 이상한 방식으로 시작하는 경우가 많으며, 눈맞춤과 다른 의사소통 방식을 잘 통합하지 못합니다. 예를 들면, 영아에게 성인이나 또래가 접근하여 상호작용을 시도하려 할 때 관심이 없거나, 부적절하거나, 매우 제한적인 반응을 보입니다.
  • 조금 더 큰 아동이나 청소년 등 언어가 유창한 아이들의 경우, 대화를 나눌 때 자기 자신의 관심사에 대해서만 일방적으로 이야기하거나, 상대방의 반응을 고려하지 않는 대화를 하여 대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2) 사회적 상호작용에 사용되는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의 결핍 

  • 눈맞춤이 어렵습니다. 영유아는 거의 눈맞춤을 하지 않거나 불확실하게 또는 가끔 눈을 맞춥니다. 연령이 높은 아동이나 청소년의 경우 너무 빤히 쳐다보는 등 부자연스러운 눈맞춤을 하기도 합니다.
  • 비언어적인 몸짓(제스쳐)가 적습니다.
  • 말의 높낮이가 단조롭고, 억양이 독특하며, 언어의 톤이 너무 높거나 낮은 경우가 많고, 말의 크기나 리듬이 독특한 경우가 많습니다.
  • 합동주시(joint attention)*가 어렵습니다.  일반적인 영아는 24개월경이면 의사소통을 목적으로한 가리키기가 나타나는 것에 반해, 자폐 아동은 4~5세 무렵까지도 멀리 있는 사물에 대해 타인을 주목하게 만들기 위해 눈 맞춤, 가리키기, 소리 내기 등을 사용하지 않고, 타인이 주시하거나 가리키는 방향을 함께 주시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합동주시란, 타인에게 관심있는 사물을 손으로 가리켜 보여줌으로써 관심을 유도하는 행동입니다. 또한 타인의 가리키기, 시선 등에 반응하여 타인과 관심을 공유하는 행동이지요. 예를 들어 엄마가 멀리 떨어진 물건을 가리키며 "우와! 저게 뭐야?"하고 말했을 때 영아는 엄마의 손가락이 가리키는 곳을 바라보는 행동을 의미합니다.

 

3) 부모 이외의 사람과 발달 연령에 맞는 적절한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지 못함

  • 자폐스펙트럼 아동은 또래에 대한 관심이 적고, 관심을 많이 나타내지 않습니다. 4~5세가 지나서까지도 또래가 집단으로 참여하는 놀이, 규칙을 가지고 주고 받는 놀이, 서로 협동이 필요한 역할놀이, 상상놀이를 하지 못합니다. 

2. 생애 초기에 위험징후가 나타남

이전 진단기준에서는 36개월 이전에 증상이 나타나야한다고 하였으나 DSM-5로 개정되면서 증상이 시작되는 특정 연령을 명시하지 않고 '어린시절부터 증상이 시작해야 한다'고만 정의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많은 아동이 36개월보다 훨씬 이른 12~24개월 사이에 발달 이상을 나타낸다고 합니다.


728x90

3. 지능과 인지적 결손이 나타날 수 있음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가진 사람의 70~75%정도는 지적 장애를 동반하고 있습니다. 

지능 중 문장의 배열이나 추상적 사고가 가장 많은 영향을 받고, 시공간 지각이나 단순 기억은 상대적으로 양호합니다. 


4. 특정 분야에서는 특별한 재능을 보이기도 함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가진 사람 중에는 약 10%가 기능 및 지능 수준에 비해 뛰어난 능력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기억력, 그리기, 음악, 계산, 읽기, 기술적/지리적인 능력, 미세운동 협응, 감각 식별의 영역에서 뛰어남을 보입니다.


마지막 5번 항목으로 '행동, 관심, 활동의 반복적, 상동적 양상'의 증상이 있는데요, 이 내용은 너무 많아서 다음 포스팅으로 넘길게요!

이어서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5번째 임상특성 확인하실 분은 아래 링크 클릭해주세요~

https://teacher-note.tistory.com/42

 

자폐 스펙트럼 장애 (2), 주요 증상(임상특성) 2편

안녕하세요. 또더샘입니다 :) 오늘은 이전에 올려드렸던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주요 증상에 대해 이어서 알아보려고 해요. 이전 포스팅을 못 보신 분들은 맨 아래에 링크 달아드릴게요! 자폐 스

teacher-note.tistory.com

임상 특성 외에도 자폐 스펙트럼 장애 관련 다양한 내용을 포스팅을 소개해드려요!

https://teacher-note.tistory.com/43

 

자폐 스펙트럼 장애 (3) - DSM-5에 따른 진단기준

안녕하세요. 또더샘입니다 :) 지난 포스팅에서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명확한 정의, 주요 증상(임상특성) 5가지를 알아보았어요. 못 보신 분들을 위해 지난 포스팅의 링크는 맨 아래에 달아드릴

teacher-note.tistory.com

https://teacher-note.tistory.com/44

 

자폐 스펙트럼 장애 (4) - 유병률과 성별 차이, 원인

안녕하세요. 또더샘입니다 :) 오늘은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유병률, 성별 차이, 원인에 대해 공부한 내용 공유해드리려고 해요. 앞선 포스팅에서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정의, 주요 증상 5가지, DSM

teacher-note.tistory.com

 

 

 

또더샘의 또다른 포스팅을 보고싶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해주세요~!

 

https://teacher-note.tistory.com/39

 

혼자 노는 아이 (1) , 정상인가요?

안녕하세요. 또더샘입니다 :) 오늘은 각 반에 꼭 1~2명씩은 있는 '혼자 노는 아이'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학부모 상담을 진행하면 매일매일을 전쟁같이 싸우는 친구를 둔 부모님들도

teacher-note.tistory.com

https://teacher-note.tistory.com/26

 

말 늦은 아이 시리즈 (5) - "남자 아이들은 말이 늦나요?"

안녕하세요. 또더샘입니다 :) 오늘은 언어발달 관련해서 많이 듣는 질문, "남자 아이들은 보통 말이 더 늦나요?" "여자애라서 말이 좀 빠르죠?" 즉, 성별과 언어발달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사실

teacher-note.tistory.com

https://teacher-note.tistory.com/9

 

어린이 ADHD 1탄 - ADHD의 정의와 주요 증상(임상 특성)

안녕하세요. 또더샘입니다 :) 지난 포스팅에서는 산만한 아이 지도방법에 대한 저의 공부노트를 공유해드렸습니다. 혹시 보지 못하신 분들은 아래 링크를 통해 먼저 보고 오세요. https://teacher-not

teacher-note.tistory.com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