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얼집샘의 공부노트

어린이 ADHD 1탄 - ADHD의 정의와 주요 증상(임상 특성)

by 또더샘 2022. 8. 28.

안녕하세요. 또더샘입니다 :)
지난 포스팅에서는 산만한 아이 지도방법에 대한 저의 공부노트를 공유해드렸습니다.
혹시 보지 못하신 분들은 아래 링크를 통해 먼저 보고 오세요.

https://teacher-note.tistory.com/7

 

산만한 아이, 집중력 키우는 지도 방법 1탄

안녕하세요. 또더샘입니다 :) 오늘은 많은 학부모님들이 하시는 고민, '우리 애 왜 이렇게 산만하지...?' '이렇게 산만한 아이, 정상인가요...?' 에 대한 고민을 함께 나누고자 합니다. 대부분의 아

teacher-note.tistory.com

https://teacher-note.tistory.com/8

 

산만한 아이, 집중력 키우는 지도 방법 2탄

안녕하세요. 또더샘입니다 :) 지난번 포스팅에서는 산만한 아이들의 집중력을 키워주는 지도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이어서 산만한 아이, 집중력 키우는 지도 방법 2탄을 공개합니다. 1탄

teacher-note.tistory.com


산만한 아이에 대한 고민이 있는 학부모님이라면
한번쯤은 ADHD에 대한 불안함을 느낀적 있으시죠?

하지만 산만한 아이라고 해서 꼭 ADHD는 아니라는 것!
그래서 오늘은 ADHD의 주요 증상과 진단 기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자세한 설명에 들어가기 앞서 제가 공부할 때 참고한 책의 출처를 표기합니다.
제가 참고한 서적은 홍강의(2014)의 소아정신의학 중,
안동현, 김붕년(2014)이 집필한 제 11장 <주의력결핌 과잉 행동장애>입니다.

홍강의(2014). 「DSM-5에 준하여 새롭게 쓴소아정신의학」. 학지사.

일반적인 육아서적이 아닌 의학서적이기 때문에
제가 풀어서 설명한다고 해도 다소 어려운 표현이 섞여있을 수 있습니다.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 있다면 댓글로 물어봐주세요!
자, 그럼 ADHD에 대해 알아볼까요?

 


"ADHD란?"

ADHD는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를 일컫는 말로,
주의산만, 과잉행동, 충동성을 위주로 하고,
주로 7세 이전의 아동기 초기에 발병하여 만성경과를 밟으며,
가정, 학교, 사회 등 여러 영역에서의 생활에 지장을 초래하는 질환입니다.


"ADHD의 주요 증상(임상 특성)은?"

 

1. 과잉행동

과잉 행동은 ADHD의 핵심 증상 중 하나로,
안절부절 못함, 꼬무락거림, 불필요한 몸의 움직임 등이 흔하게 나타납니다.
예를 들면, 교실에서 자리를 벗어나 돌아다니거나, 팔다리를 가만히 두지 않고 흔들어대거나, 쓸데 없는 소리를 내는 등의 행동을 합니다.

과잉행동은 연령이 높아지면서 대근육 운동에서 소근육 운동으로,
외적행동에서 내적 행동으로 변화합니다.
따라서 아동기 초기에는 나대고 돌아다니는 것과 같은 대근육 활동이 문제가 되지만,
학령기에는 대근육 활동보다는 꼬무락거림, 자리에서 뒤돌아보기, 말하기, 연필 입에 물기 등의 행동으로 변화합니다.
청소년기가 되면 이 같은 과잉행동은 대부분 크게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2. 주의산만

ADHD 아동들은 주의력을 지속하는데 곤란함을 느끼거나, 혹은 무시해야 하는 자극에 주의가 산만해집니다.
주의산만은 특히 재미없고, 지루하고, 반복적인 과제(예: 혼자 하는 숙제, 자습, 심부름 등)을 할 때 두드러지게 나타납니다.

이런 아이들을 보고 부모님들은 흔히 '귀 기울여 듣지 않는다.', '끝맺음을 제대로 하지 못한다.', '쉽게 산만해진다.', '집중하지 않는다.', '자꾸 지시해야한다.' 고 표현합니다.

주의산만함은 앞서 설명한 과잉행동과는 달리 청소년기에 두드러지게 나타납니다.
청소년기 이전까지는 학습 등 주의집중이 덜 요구되기 때문이지요.
하지만 청소년기에는 주의집중의 어려움으로 인해 학업에 어려움을 겪는 등의 모습으로 더욱 두드러지며
학업부진이나, 2차적인 학습 동기 저하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3.충동성

충동성은 참을 성이 적고 감정 변화가 많은 충동적 행동적 특징을 말합니다.

지시가 끝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재빨리 반응한다거나,
부정적이거나, 파괴적이거나, 위험한 결과를 초래하는 행동을 자주 보인다거나
자주 불필요한 위험 행동을 보이기도 하죠.

그래서 ADHD 아동들은 잘 다치거나, 물건을 잘 망가뜨리거나, 게임에서 차례를 기다리는 상황 등에서 문제를 일으킵니다.


이상으로 ADHD의 정의와 주요 증상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제가 설명드린 ADHD에 대한 내용을 참고하시되,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전문가가 아이를 직접 보며 관찰한 뒤 진단하는 과정이 꼭 필요합니다.
ADHD가 우려된다면 주변 전문가의 도움을 받으시기를 권해드려요.
 

어린이 ADHD와 관련된 다른 포스팅들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해보세요!

 

이상 또더샘이었습니다 :)

 

https://teacher-note.tistory.com/10

 

어린이 ADHD 2탄 - ADHD의 진단 기준 (DSM-5 진단 기준)

안녕하세요. 또더샘입니다 :) 지난번 포스팅에서는 ADHD의 정의와 주요 증상(임상 특성)에 대해 알아보았어요. 오늘은 ADHD의 명확한 진단 기준에 대해 알아보려고 하는데요, 그 전에 지난번 ADHD 포

teacher-note.tistory.com

https://teacher-note.tistory.com/13

 

어린이 ADHD 3탄 - ADHD의 원인

안녕하세요. 또더샘입니다 :) 오늘은 ADHD 포스팅을 이어가볼건데요, 이전 포스팅에서 ADHD의 정의와 주요 증상(임상특성), DSM-5에 따른 진단기준을 알아보았습니다. 오늘 포스팅을 읽으시기 전에

teacher-note.tistory.com

https://teacher-note.tistory.com/14

 

어린이 ADHD 4탄 - ADHD의 치료 (약물치료)

안녕하세요 :) 또더샘입니다. 오늘은 ADHD의 치료에 관한 이야기를 해볼까합니다. 그 전에 제가 ADHD와 관련한 앞선 포스팅 3개에서 ADHD의 정의, 주요 증상(임상 특성)과 진단기준(DSM-5), 원인에 대해

teacher-note.tistory.com

https://teacher-note.tistory.com/15

 

어린이 ADHD 5탄 - ADHD의 치료(비약물치료)와 예후

안녕하세요. 또더샘입니다 :) 지난 포스팅부터 ADHD의 치료에 대해 알아보고 있는데요, 오늘은 ADHD의 비약물치료와 예후에 대해 이야기해보고자 합니다. 앞선 포스팅에서는 ADHD의 약물치료에 대

teacher-note.tistory.com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