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또더샘입니다 :)
오늘은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유병률, 성별 차이, 원인에 대해 공부한 내용 공유해드리려고 해요.
앞선 포스팅에서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정의, 주요 증상 5가지, DSM-5의 진단기준에 대해 포스팅해드렸는데, 그 내용들은 이 포스팅의 맨 아래에 링크 달아드릴게요 :)
오늘도 제가 공부한 내용의 출처를 먼저 밝히구요~
저는 이 책의 9장 유희정, 곽영숙(2014)의 <자폐 스펙트럼 장애> 를 참고했습니다.
"자폐 스펙트럼 장애 유병률은?"
해외에서 진행된 연구들은 제외하고 한국에서 진행된 연구 결과들을 말씀드려볼게요.
1999년에 홍강의 등의 연구자가 중소도시에서 시행한 연구에서는 약 0.1%의 유병률을 보였고,
조금 더 시간이 지나 2011년에 김영신 등의 연구자가 진행한 대규모 전수조사에서는 2.64%로 나왔다고 합니다.
한국 인구의 2.46%정도가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가지고 있다고 확인하실 수 있는데,
연구마다 수치의 차이가 있어서 대략적인 수준으로만 참고하시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다만 확실한 것은 최근 20년에 걸쳐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가진 사람의 비율이 점차 늘고 있는 추세라고 해요.
"자폐 스펙트럼 장애 성별 차이는?"
성별 차이에 대한 연구는 꽤 결과가 일관적인데요, 여아보다 남아에서 유병률이 높습니다.
여아:남아 = 1:3 에서 1:4정도 된다고 해요.
자폐 스펙트럼 장애 증상을 보이는 여자 아이가 1명이라면 남자아이는 3~4명 정도 된다는 뜻이죠.
"자폐 스펙트럼 장애 원인은?"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원인으로 추정되는 것은 여러가지 요인이 있지만, 어느 한가지로 단정짓기는 어려우며,
'유전자-환경 상호작용의 결과'에 따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 현재의 질환 발생 모델입니다.
자폐 스펙트럼 장애는 유전적인 소인이 굉장히 높은 질환이고,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가진 사람의 뇌 영상연구에서도 뇌의 구조, 연결성, 기능 이상, 신경전달물질의 불균형이 보고됩니다.
또한 임신 및 출산 시 위험요인에 대한 노출(주산기 감염, 조산이나 둔위분만, 저체중아, 출생 시 호흡기 부전, 고연령 임신 등), 환경오염 물질에의 과도한 노출과 같은 환경적 요인도 영향을 미친다고 하네요.
즉,
'유전적으로 취약한 개체에서 환경적 인자가 작용하면
둘 간의 상호작용이 태내 신생아의 뇌발달에 영향을 주게 되고,
신경세포와 시냅스의 구조 형성과 성숙, 뇌 피질망의 발달, 뇌의 성장 등에 문제를 일으킴으로써
자폐 스펙트럼 장애 특유의 표현형이 발현된다'
라고 추정하는 것입니다.
책에는 요런 그림도 삽입되어 있더라고요. 이해하시는데 도움이 되면 좋겠네요!
오늘은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유병률, 성별, 원인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자폐 스펙트럼 관련 또다른 포스팅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링크 눌러주세요!
유익한 정보가 되었기를 바랍니다. 이상 또더샘이었습니다 :)
https://teacher-note.tistory.com/41
자폐 스펙트럼 장애 (1), 정의와 주요 증상(임상 특성)
안녕하세요. 또더샘입니다 :) 오늘은 '자폐스펙트럼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ASD)'에 대한 포스팅을 해보려고 해요. 자폐스펙트럼장애는 최근 드라마 우영우를 통해 우리에게 많이 익숙해졌는데
teacher-note.tistory.com
https://teacher-note.tistory.com/42
자폐 스펙트럼 장애 (2), 주요 증상(임상특성) 2편
안녕하세요. 또더샘입니다 :) 오늘은 이전에 올려드렸던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주요 증상에 대해 이어서 알아보려고 해요. 이전 포스팅을 못 보신 분들은 맨 아래에 링크 달아드릴게요! 자폐 스
teacher-note.tistory.com
https://teacher-note.tistory.com/43
자폐 스펙트럼 장애 (3) - DSM-5에 따른 진단기준
안녕하세요. 또더샘입니다 :) 지난 포스팅에서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명확한 정의, 주요 증상(임상특성) 5가지를 알아보았어요. 못 보신 분들을 위해 지난 포스팅의 링크는 맨 아래에 달아드릴
teacher-note.tistory.com
'얼집샘의 공부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폐 스펙트럼 장애 (6) - 약물치료 / 경과 및 예후 (1) | 2022.10.11 |
---|---|
자폐 스펙트럼 장애 (5) - 심리사회적 치료(비약물 치료) (0) | 2022.10.10 |
자폐 스펙트럼 장애 (3) - DSM-5에 따른 진단기준 (1) | 2022.10.04 |
자폐 스펙트럼 장애 (2) - 주요 증상(임상특성) 2편 (0) | 2022.10.03 |
자폐 스펙트럼 장애 (1) - 정의와 주요 증상(임상 특성) (1) | 2022.10.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