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얼집샘이 알려주는 어린이집 생활 팁

교육프로그램 비교 (2) - '레지오 에밀리아 vs 프로젝트 접근법' 제대로 알고 어린이집 / 유치원 고르기!

by 또더샘 2022. 10. 24.

안녕하세요. 또더샘입니다 :)

11월이면 신입원아 설명회를 개최하는 원이 많아서 학부모님들도 여기저기 좋은 원을 찾아 바쁜 시기인데요,

다 비슷비슷해 보일 때도 있고, 또 어떨때는 너무 뚜렷이 다른 교육관 때문에

어느쪽이 우리 아이에게 맞는 방법인지 고민하시는 일이 종종 생기는 것 같아요.

 

그 고민에 조금 정보를 얹어드리고자 지난번 포스팅에서는

'발도르프 교육' vs '몬테소리 교육

정리해드렸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또 많은 원들이 채택하고 있는 교육 프로그램인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 vs '프로젝트 접근법

비교해드리려고 합니다.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

이탈리아 북부 지역에 있는 시의 이름으로, 그 곳의 학교들이 발전시켜온 유아교육의 철학, 행정 조직, 교수학습 방법 및 환경구성을 통틀어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Reggio Emilia Approach)'라고 합니다.

2차 세계대전 직후 레지오 에밀리아 지역의 부모들과 교육자 로리스 말라구찌(L. Malaguzzi)가 체계화한 유아교육 접근법입니다.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의 교육 활동>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은 '발현적 교육과정'입니다. 

즉, 교육 목표와 계획이 미리 수립되어 있는 것이 아닙니다.

교사는 아이들의 흥미를 관찰하여 큰 단위의 교육 목표만 설정할 뿐, 세부적인 목표와 활동 내용은 아이들이 이끌어 나갑니다. 교육의 내용을 아이들이 자신의 흥미에 따라 능동적으로 결정하는 것이지요. 

단, 교사는 아이들의 흥미의 방향이 전체적인 활동의 흐름과 교육적 가치에 어긋나지 않도록 제안을 해주기도 합니다.

아이들은 흥미 있는 주제에 대해 이야기하고, 그 내용을 그림으로 표상해보고, 다시 이야기 나누고, 표상하는 과정을 통해 자신의 생각을 발전시켜 나갑니다.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의 환경구성>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에서는 아이들을 '사회적 구성주의자'로 생각합니다.

즉, 주변의 사회적 환경, 문화적 환경, 또래, 교사 등의 환경으로 부터 스스로 동기가 유발되어 자신의 학습을 구성해나가는 존재라는 의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유아가 마주하는 사회, 문화, 관계적 환경을 아주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공간을 "제 3교사"라고도 칭할 정도 이지요.

 

교실은 전반적으로 따뜻한 분위기로 가운데에는 또래와의 만남, 상호작용을 위한 공간(piazza)가 위치합니다.

예술과 창의성을 위한 다양한 미술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아뜰리에(atelier)가 있습니다.

또한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에서는 모든 활동과 작품에 대한 기록, 사진, 영상을 남기는 것을 매우 중요시 하기 때문에

이러한 자료들을 배열하여 아이들의 지식 구성과정이 나타나도록 한 공간도 마련되어 있습니다.

출처 :&nbsp;www.newtowneschool.org

 


728x90

"프로젝트 접근법"

듀이와 킬 패트릭에 의해 시작되었고 캐츠(L. Katz)와 챠드(S. Chard)에 의해 발전된 교육방식입니다.

프로젝트 접근법은 특정 주제에 대한 심층적인 조사를 강조하는 교수학습방법입니다.

그 과정에서 능동적으로 탐구하고 문제해결능력을 가지도록 길러내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프로젝트 접근법의 교육활동>

 

프로젝트 접근법은 교육 주제를 선정할 때부터 유아의 흥미, 관심, 욕구를 중요시합니다.

또한 교육적 판단도 중시하므로, 유아의 자발적 참여와 교사에 의한 체계적인 교수가 통합된 것으로 평가를 받습니다.

 

프로젝트 접근법은 '경험' 중심 교육으로, 아이들이 선정하는 주제는 자신의 환경에서 직접 관찰 가능해야하며, 조사하고 탐구하며 경험할 수 있는 대상이어야 합니다. 

저희 원은 프로젝트 접근법을 도입한 원인데요, 연령마다 차이는 있지만 개미, 무당벌레, 지구와 우주, 월드컵, 신발, 옷 등의 프로젝트 주제를 운영한 경험이 있어요. 

프로젝트를 탐구하는 과정에서 질문을 가지고, 도전하고, 현실적인 어려움을 극복하고, 주변 생활과 세계에 데해 더욱 폭 넓은 관심과 식견을 지난 사람으로 성장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프로젝트 접근법은 아래의 4단계에 따라 교육활동이 이루어집니다.

  • 1단계 '준비 및 계획' - 주제 선정, 주제 예비망 구성, 주요 개념 도출, 자료 준비
  • 2단계 '시작 단계' - 생각 나누기, 생각 모으기, 유목화, 질문 찾기
  • 3단계 '전개 단계' - 1~2단계에서 도출한 개념과 질문을 해결하기 위한 대한 토의, 관찰, 현장학습, 표상 등 다양한 탐구적 학습방법 사용
  • 4단계 '마무리 단계' - 1~3단계의 내용에 대한 전시회 및 발표

<프로젝트 접근법의 환경구성>

주제와 관련하여 탐구할 수 있는 책, 사진, 탐구자료, 놀이자료 등이 비치되고, 

그 세부적인 구성은 프로젝트에서 선택한 '주제'에 따라 달라집니다.

아래 사진은 '바다' 프로젝트를 진행했던 저희반 교실의 환경구성 자료들입니다.

'바다'를 주제로 선택하면서 바다 생물(동물, 해조류, 조개 등), 바다에 사는 사람들, 바다의 교통기관, 바다 먹거리 등에 대한 질문이 쏟아졌고, 아이들의 질문을 하나씩 해결해가는 과정에서 아래 사진과 같은 교육자료들을 준비해 환경을 구성해주었어요.


이상으로 발도르프, 몬테소리에 이어 레지오 에밀리아, 프로젝트 접근법까지!

여러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채택하고 있는 교육 프로그램에 대해 소개해드렸습니다.

우리 아이에게 잘 맞는 원을 선택할 때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

 

발도르프 vs 몬테소리 포스팅 아직 못 읽어신 분들은 아래 링크를 클릭해주세요!

https://teacher-note.tistory.com/55

 

교육 프로그램 비교 (1) - '발도르프 vs 몬테소리' 제대로 알고 어린이집 / 유치원 고르기!

안녕하세요. 또더샘입니다 :) 11월이면 어린이집 / 유치원의 신입원아 설명회가 많이 열리죠~ 신입원아 설명회를 가면 어린이집 / 유치원마다 나름의 교육철학을 참 많이 강조해요. 계속 듣다보

teacher-note.tistory.com

 

이런 포스팅은 어때요?? :)

↓↓↓↓↓

https://teacher-note.tistory.com/28

 

유치원 vs 어린이집, 선생님이 알려주는 진짜 차이! (1)

안녕하세요. 또더샘입니다 :) 오늘은 많은 생각보다 많은 학부모님들이 헷갈리고 잘 모르시는 부분,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차이에 대해 말씀드리려고 해요. 10~11월이 되면 유치원, 어린이집 설명

teacher-note.tistory.com

https://teacher-note.tistory.com/29

 

유치원 vs 어린이집, 선생님이 알려주는 진짜 차이! (2)

안녕하세요. 또더샘입니다 :) 오늘은 유치원 vs 어린이집 포스팅 이어가볼텐데요, 이전 포스팅을 보지 못하신 분들은 먼저 읽고 와주세요! https://teacher-note.tistory.com/28 유치원 vs 어린이집, 선생님

teacher-note.tistory.com

https://teacher-note.tistory.com/45

 

가을 놀이 (1) - 가을 열매 모으기 (ft. 네이버 스마트 렌즈로 모르는 식물 이름 찾기)

안녕하세요. 또더샘입니다 :) 오늘은 가을 놀이로 가을 열매 모으기 놀이를 소개해드리려고 해요. *준비물: 자연물을 담을 작은 가방 or 플라스틱 통 - 내용물이 잘 보이는 투명한 가방이나 입구

teacher-note.tistory.com

 

728x90

댓글